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는 차량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검사입니다. 이 두 검사의 차이점과 검사 주기,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개요
정기검사는 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모든 자동차는 정기검사의 대상이며, 신규 등록 후 4년이 경과한 이후부터 2년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의 기계적 안전성과 배출가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기검사 대상
- 신규 등록한 모든 자동차는 정기검사의 대상입니다.
-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모든 자동차가 포함됩니다.
검사 주기
- 일반 승용차: 신규 등록 후 4년 후, 이후 2년마다
- 사업용 승용차: 신규 검사 유효기간 2년, 정기검사 1년
- 경형, 소형 승합차 및 화물자동차: 1년마다 정기검사
자동차 정기검사 유효기간
정기검사는 직전에 받은 검사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받아야 합니다. 신규 등록한 자동차의 경우, 최초 검사 유효기간이 4년이기 때문에 첫 번째 정기검사 시기는 차량 등록 후 4년이 되는 시점입니다. 이후에는 2년마다 검사가 필요합니다.
검사 유효기간 요약
구분 | 검사 유효기간 |
---|---|
비사업용 승용차 | 2년 |
사업용 승용차 | 1년 |
경형 및 소형 화물자동차 | 1년 |
기타 자동차 | 차령에 따른 상이 |
정기검사는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31일 이내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차이
종합검사는 정기검사와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포함한 검사입니다. 정밀검사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대기관리권역에 등록된 차에 대해 수행됩니다.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주요 차이
- 첫 번째 정기검사에서는 정밀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며, 이후부터는 정기검사와 함께 정밀검사가 포함된 종합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 검사 비용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아래 표는 검사 종류별로 필요한 비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검사 종류 | 경형 | 소형 | 중형 | 대형 |
---|---|---|---|---|
정기검사 | 17,000원 | 23,000원 | 26,500원 | 29,000원 |
종합검사 (부하) | 48,000원 | 54,000원 | 56,000원 | 65,000원 |
종합검사 (무부하) | 34,000원 | 39,000원 | 45,000원 | 49,000원 |
배출면제 | 15,000원 | 20,000원 | 24,000원 | 26,000원 |
자동차 검사 미이행 시 처벌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를 정해진 기간 내에 받지 않으면 최대 6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년 이상 검사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자동차 운행정지명령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과태료 부과 기준
- 검사 지연기간 30일 이내: 4만원
- 30일 초과 114일 이내: 4만원 + 초과 일수마다 2만원 추가
- 115일 이상: 최대 60만원
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정기검사는 신규 등록 후 4년이 지나면 2년마다 받아야 하며, 첫 번째 정기검사는 신규검사 유효기간이 도래할 때 실시합니다.
검사 비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검사 비용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뉘어 비용이 설정됩니다.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시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첫 번째 정기검사는 정밀검사가 제외되며, 이후부터는 종합검사로 정기검사와 정밀검사가 함께 진행됩니다.
이전 글: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관련주 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