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동안 매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계좌는 청년들에게 정부 기여금을 제공하여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고, 중도 해지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개인소득 요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가 7,500만원 이하(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인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구소득 요건
가구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만 19세에서 34세까지)이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 기간 및 방법
2023년 청년도약계좌의 신청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됩니다. 첫 번째 기간은 6월 15일부터 23일까지, 두 번째는 7월 3일부터 14일까지입니다. 신청은 우리은행, KB 국민은행, IBK 기업은행, NH 농협은행, 신한은행, 부산은행 등에서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부 기여금
가입자는 매월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는 개인소득 수준 및 납입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은행별 금리 정보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은행마다 상이하며,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각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리를 확인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은행명 | 기본금리 | 저소득층 우대금리 |
---|---|---|
우리은행 | 3.5% | 0.5% |
KB 국민은행 | 3.6% | 0.4% |
IBK 기업은행 | 3.4% | 0.6% |
NH 농협은행 | 3.7% | 0.5% |
신한은행 | 3.8% | 0.3% |
중복가입 가능 여부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과 중복가입이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에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반드시 개인소득이 있어야 하나요?
가입자가 개인소득이 없더라도 가입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예: 청년 부부 등)일 경우 부부가 각각 가입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나요?
외국인도 가입 가능하나, 정부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직종이나 회사 규모에 제한이 있나요?
가입 제한은 없습니다. 모든 직종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근무하는 회사의 규모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
2023년에는 두 차례의 신청 기간이 있으며, 각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로, 조건을 잘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